맨위로가기

신인왕전 (일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인왕전은 일본기원이 주최하는 바둑 기전으로, 예선 개최년도 10월 1일 기준으로 만 25세 이하, 6단 이하의 기사가 참가할 수 있다. 32명 또는 33명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우승자를 가리며, 결승전은 3번기로 진행된다. 2006년 신인왕 U-25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우승 상금은 200만 엔이다. 역대 우승자로는 고바야시 고이치, 이시다 아키라, 요다 노리모토 등이 있으며, 한국 기사로는 조치훈, 왕리청, 조선진, 김수준이 우승한 기록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바둑 기전 - 명인전 (일본)
    일본 명인전은 요미우리 신문과 아사히 신문이 주최하는 일본의 주요 바둑 기전으로, 구 명인전과 현 명인전으로 나뉘어 명기사들이 명인 자리를 놓고 경쟁하며, 특정 조건을 달성한 기사에게는 명예 명인 칭호가 수여되고 풀리그 본선과 7번기 도전기로 진행되며 높은 상금이 걸려 있다.
  • 일본의 바둑 기전 - 기성전 (일본)
    일본 기성전은 요미우리 신문 주최의 최고 권위 바둑 기전으로, 최고 상금을 자랑하며, 리그 시스템과 도전자 결정 토너먼트를 거쳐 기성 타이틀을 놓고 7번기를 벌이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기사에게는 명예 기성 자격이 주어진다.
  • 1976년 설립 - 서울관악경찰서
    서울관악경찰서는 서울특별시 관악구(조원동 제외)를 관할하며 112종합상황실, 생활안전과, 여성청소년과, 수사과 등 여러 부서와 6개 지구대, 3개 파출소를 운영하며 관악구 지역의 치안 유지를 담당하는 경찰서이다.
  • 1976년 설립 - 서울강남경찰서
    서울강남경찰서는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경찰서로, 강남 지역 발전에 따라 관할 구역이 조정되었으며, 경찰과 유흥업소 간 유착 문제로 '특별 인사관리구역'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 바둑에 관한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바둑에 관한 - 충암고등학교
    충암고등학교는 1965년 설립된 학교법인 충암학원이 운영하는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며, 1969년 개교하여 인문계열 교육과 국내 최대 규모의 바둑 도장 운영을 병행하고, 윤석열 대통령, 배우 김명민, 프로 바둑 기사 이창호 등 다양한 분야의 동문을 배출했다.
신인왕전 (일본)
기본 정보
대회 명칭신인왕전
전체 명칭(정보 없음)
시작 연도1976년
후원(정보 없음)
상금2,000,000 엔
소속일본기원
일본의 바둑 기전 정보
기전 종류젊은 기전
공식 명칭(정보 없음)
이전 명칭(정보 없음)
개최 시기10월 (결승)
창설 연도1976년 (제1기)
제한 시간3시간
결승 방식3번기
우승 상금200만 엔
주최신분 아카하타 (일본 공산당)
일본기원간사이 기원
협찬(정보 없음)
URL(정보 없음)
종류신인왕
전기 우승자미우라 타로
최다 우승자요다 노리모토 (5기)
최장 연패야마시타 케이고 (4연패)

2. 대회 규정

대회 참가 자격, 제한 시간, 덤 등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참가 자격'''

참가 자격 변천
기간연령 제한단수 제한비고
제1기 ~ 제10기[5]35세 이하초단 ~ 7단제1-2기는 성적에 따른 선발.[5] 미야자와 고로는 35세였던 1985년(제10기)에 우승했다.
제11기 ~ 제30기30세 이하5단~7단 전원, 4단 이하 전년도 성적 상위자
제31기 ~ 제32기 (2006년 ~ 2007년)25세 이하7단 이하2006년 대회 명칭이 신인왕 U-25로 변경되었다.
제33기 ~ 현재 (2008년 ~ )25세 이하 (예선 개최년 10월 1일 기준)6단 이하우승 경험자 제외: 제32기부터 우승 1회로 제한하며, 제33기부터 우승자는 졸업으로 칭하고 이후 출전 자격을 부여하지 않는다. 즉, 신인왕전 우승은 생애 1회만 가능하다.



'''대회 방식'''


  • 본선은 총 33명이 참가하여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일본기원 소속 시드 17명과 예선 통과자 8명, 간사이 기원 소속 시드 4명과 예선 통과자 4명으로 구성된다.
  • 최종 우승자를 가리는 결승전은 3번기로 치러진다.
  • 2023년 제48기에는 우에노 아사미가 여성 기사 최초로 우승하는 기록을 세웠다.


'''제한 시간 및 덤'''

제한 시간 및 덤 변천
구분제1기 ~ 제27기제28기제29기 ~ 제30기제31기 ~ 현재
제한 시간각 5시간각 5시간각 4시간각 3시간 (60초 초읽기 5회)
5집 반6집 반6집 반6집 반



'''상금'''


  • 우승 상금은 200만이다.


'''기타'''

  • 우승자는 타이틀 경험자와 기념 대국을 갖는다. 이는 비공식전으로, 성적은 통산 기록 등에 포함되지 않는다.

3. 역대 우승자 및 준우승자

기사우승 연도
고바야시 고이치1976, 1977
이시다 아키라1978, 1979
미야자와 고로1980, 1985
왕리청1981
가타오카 사토시1982
요다 노리모토1983, 1986, 1987, 1989, 1990
이마무라 도시야1984
고마쓰 히데키1988, 1992
조선진1991
유키 사토시1993
미무라 도모야스1994, 1995
다카오 신지1996
야마다 기미오1997
야마시타 케이고1998 - 2001
장쉬2002
쑤야오궈2003
미조카미 도모치카2004
김수준2005
마쓰모토 다케히사2006
이야마 유타2007
우치다 슈헤이2008
리이시우2009
시라이시 유이치2010
무라카와 다이스케2011
가나자와 마코토2012
후지타 아키히코2013
이치리키 료2014
쉬자위안2015
오니시 류헤이2016
시바노 토라마루2017
히로세 유이치2018[1]
쑨저2019
세키 고타로2020[2]
소토야나기 세분2021[3]
사카이 유키2022[4]
우에노 아사미2023
미우라 타로2024


3. 1. 전체 기록

회수연도우승전적준우승
11976고바야시 고이치 7단2-0나카무라 히데토 6단
21977고바야시 고이치 7단2-0조치훈 7단
31978이시다 아키라 7단2-1구라하시 쇼조 7단
41979이시다 아키라 7단2-1야마시로 히로시 6단
51980미야자와 고로 6단2-0기요나리 데쓰야 5단
61981왕리청 6단2-0하세가와 스나오 7단
71982가타오카 사토시 7단2-0요다 노리모토 4단
81983요다 노리모토 5단2-0미야자와 고로 7단
91984이마무라 도시야 6단2-1하시모토 유지로 5단
101985미야자와 고로 7단2-0이마무라 도시야 6단
111986요다 노리모토 6단2-1왕리청 8단
121987요다 노리모토 6단2-1왕명완 7단
131988고마쓰 히데키 6단2-0나루사와 야스이치 6단
141989요다 노리모토 7단2-0이즈마다니 히데오 4단
151990요다 노리모토 8단2-1유키 사토시 6단
161991조선진 6단2-1류시훈 4단
171992고마쓰 히데키 8단2-0마이클 레드먼드 7단
181993유키 사토시 8단2-0미무라 도모야스 7단
191994미무라 도모야스 7단2-1양자위안 7단
201995미무라 도모야스 7단2-0조선진 8단
211996다카오 신지 5단2-0나카무라 신야 5단
221997야마다 기미오 7단2-0아오키 기쿠요 7단
231998야마시타 케이고 6단2-1다카오 신지 6단
241999야마시타 케이고 6단2-0하네 나오키 7단
252000야마시타 케이고 7단2-0하네 나오키 8단
262001야마시타 케이고 7단2-0구보 히데오 5단
272002장쉬 7단2-0다카오 신지 7단
282003쑤야오궈 7단2-0후지이 슌야 5단
292004미조카미 도모치카 7단2-1사카이 히데유키 6단
302005김수준 7단2-0이야마 유타 4단
312006마쓰모토 다케히사 6단2-1황이중 7단
322007이야마 유타 7단2-0모치즈키 겐이치 6단
332008우치다 슈헤이 2단2-0하영일 4단
342009리이시우 7단2-0미타니 데쓰야 5단
352010시라이시 유이치 3단2-1미타니 데쓰야 5단
362011무라카와 다이스케 7단2-0안자이 노부아키 6단
372012가나자와 마코토 3단2-1후지타 아키히코 3단
382013후지타 아키히코 3단2-0위정치 7단
392014이치리키 료 7단2-1시다 다쓰야 7단
402015쉬자위안 3단2-0히라타 도모야 4단
412016오니시 류헤이 2단2-0타니구치 토오루 2단
422017시바노 토라마루 7단2-0쑨저 5단
432018히로세 유이치 2단2-0오니시 겐야 3단[1]
442019쑨저 7단2-0고이케 요시히로 4단
452020세키 고타로 3단2-1사다 아츠시 7단[2]
462021소토야나기 세분 3단2-1우에노 아사미 4단[3]
472022사카이 유키 3단2-0오타케 유 7단[4]
482023우에노 아사미 5단2-0야오쯔텅 6단
492024미우라 타로 3단2-0후지이 코키 3단


3. 2. 한국 기사 우승 기록

wikitext

기사우승 연도
조선진1991
조우2002
김수준2005
손마코토2019


4. 상금

우승 상금은 200만이다.

5. 기념 대국

우승자는 바둑 타이틀 경험자와 기념 대국을 갖는다. 이 대국은 비공식전으로 치러지며, 대국 결과는 통산 성적 등에 포함되지 않는다. 장기의 신인왕전과 마찬가지로, 기념 대국의 기보는 다음 해 1월 1일부터 신문 아카하타에 게재된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Power Report: Hirose wins King of New Stars; Iyama eliminated from Samsung; New tournament for non-winners; Ichiriki wins Agon Kiriyama Cup; Onishi wins again in Kisei knock-out https://www.usgo.org[...] 2018-10-13
[2] 웹사이트 The Power Report: Seki wins King of New Stars; Cho U scores 1,000 wins; Fujisawa wins Young Carp & Women's Honinbo; Iyama wins Agon Kiriyama Cup; Ichiriki sets new Ryusei record, leads Honinbo League https://www.usgo.org[...] 2021-02-09
[3] 웹사이트 The Power Report: Ichiriki to challenge for Kisei; Iyama to challenge for Oza; Sotoyanagi wins King of the New Stars https://www.usgo.org[...] 2021-11-02
[4] 웹사이트 The Power Report: Oh wins Go Seigen Cup; Sakai wins King of the New Stars; Hirata wins Agon Kiriyama Cup; Shibano increases lead in Meijin title match, Iyama fights back https://www.usgo.org[...] 2022-10-23
[5] 서적 棋道 囲碁年鑑 1977-04-01
[6] 간행물 三浦三段中押し先勝/囲碁新人王戦 決勝三番勝負第1局 https://www.jcp.or.j[...]
[7] 간행물 三浦三段 大逆転で優勝/囲碁新人王戦 藤井三段、痛恨のミス https://www.jcp.or.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